top of page

Artwork

​노동 그릇, 2023

Un Stable, 2023

​까꿍!, 2022

양은솥, 2022

세탁비누, 2022

송사리, 2022

각재, 2022

기울여 헤아리는, 2022

김종기, 순례여행, 2021

김종기, 사랑노래, 2021

박남수, 나의 노래, 2021

박남수, 아버지의 노래, 2021

안옥분, 신기스러워요, 2021

안옥분, 양은솥, 세탁비누, 송사리, 각재, 2021

오월선, 사는 방법, 2021

오월선, 사는건 재미있는 것이에요, 2021

장옥녀, 다들 그렇게 살았다, 2021

​장옥녀, 잊혀지는 것, 2021

장흥월, 아주 기적처럼 살겠어, 2021

최복례, 그의 신발

최복례, 그 사람

​살아가는 방법, 2021

Recording project #Unknown, 2021

Recording project #임옥재, 2021

Recording project #심경애, 2021

Recording project #유옥순 1, 2021

Recording project #유옥순 2, 2021

Recording project #하복선 2-1, 2021

Recording project #하복선 2-2, 2021

Recording project #하복선 2-3, 2021

Un Stable(drawing), 2019

Un Stable, 2019

Too N, 2018

​그만할게요, 더 이상, 2018

Where am I belong, 2018

For -, 2018

And for -, 2018

​한강 해우소, 2018

AM Record - HER, 2018

Labor Container, 2024

OHP 필름 인쇄, 가변크기

박주희, <노동 그릇>, 2024. OHP 필름, 가변크기

 

  1. 작품설명

 전후 한국의 1940~50년대 이후의 가부장사회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구분지었다. 이제는 할머니가 된 그들은 여성을 지칭하는 다양한 호칭으로 불리며 그들의 개인성은 사라졌다. 딸, 며느리, 집안사람, 엄마 등의 호칭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호칭으로 정해진 할머니들의 역할은 가족을 위한 희생을 당연시 했고, 그들은 결국 이방인의 삶을 살게 되었다. 특히, 결혼의 경우에도 남성은 본인의 마을과 가정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었지만, 여성의 경우 중매를 통해서 (심지어는 얼굴도 모르고) 남자의 집으로 가서 살아야 했다. 즉, 자신의 터전을 벗어나서 졸지에 이방인의 삶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런 구조는 도시를 벗어날 수록 더 강화되었다. 이방인으로 살아왔던 할머니들은 아직까지도 그들의 마을에서 이방인으로 남아있다. 

 박주희가 살아왔던 마을은 아직까지도 이런 구조가 남아있다. 할머니들은 아직도 이방인의 위치에서 그들의 모습을 쉽게 드러내지 않고 있다. 사회는 할머니들을 수동적으로, 무조건적으로 희생하는 역할을 부여해서 자신의 목소리도 낼 수 없게 만들었다.

 시멘트 그릇은 할머니들의 숨겨진 노동을 벗겨내 드러낸다. 밥상 위에 올라온, 차려진 음식과 식사의 전과 후에는 할머니들의 노동이 있다. 물을 길어오고 밥을 짓고 음식을 하고, 남은 음식을 처리하고 설거지를 하는 등의 노동은 차려진 음식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철골구조와 시멘트는 그 노동을 가리는 사회구조를 상징한다. 단단하고 차갑게 쌓아가며 발전을 상징하는 두가지의 재료는 할머니들의 노동을 만나며 그 구조가 드러나며 녹아내리게 된다. 녹아내려 틈틈히 구멍이 생긴 시멘트 그릇은 그 역할을 더이상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렇다면 무엇이 그 구조에 구멍을 내는 것일까? 노동을 단지 수동적인 역할로써 끝내는 것이 아니라 다시 그들의 주체적인 노동으로 바꾸는 치열한 할머니들의 삶이 있었다. 희생이라고 단정 짖던 역할을 들여다보면 상당히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그들의 노동이 들어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노동을 이어가게 해 준 것은 그들의 노래가 있었다. 할머니들에게 노래는 단지 노래가 아니었다. 그들의 자유를 대신하기도 하고, 숨통을 틔워 주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1. 참조된 작품의 요소

 박주희의 작품 <노동 그릇>은 문성주 작가의 작품 <강을 건너는 방법>을 만난다. 박주희가 주목하는 문성주 작품의 요소는 ‘강’이다. 문성주 작가는 강을 넘어가야 할 미지의 장애물이라고 상정한다. 그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강을 건너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냥 건너는 것에서부터 나무를 키운 후에 쓰려뜨려서 건너는 것까지 바로 할 수 있는 쉬운 방법부터 시간과 공이 많이 드는 방법까지 다양하다. 이런 방법과 함께 문성주 작가는 그의 글에서 사실 강이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는 말을 한다. 


 

  1. 최종 작품 설명 

 할머니들에게도 강은 중요한 곳이었다. 필수적인 삶의 공간이자, 노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었다. 사회가 부여한 여성의 역할과 노동을 수행하는 곳이었다. 학교에서의 교육보다 강에서의 빨래를 해야했고 물을 길어오거나 설거지를 해야하는 곳이었다. 여기에서 그들은 연대를 했다. 노동 사이사이에 스며들어간 그들의 노래는 당연한 노동을 그들만의 노동으로 만들어갔다.

 

 이처럼 전시장에 설치된 박주희의 작품은 더 이상 하나의 작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할머니들이 강에서 이방인들의 연대를 하며 생을 이어나갔던 것처럼, 전시 공간의 작품을 하나로 이어주게 된다. 할머니들의 노래가사는 투명한 강의 모습을 안고 벽을 둘러싸며, 은은하지만 사라지지 않는 연대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Joohee Park, Labor Container, 2024. OHP film, variable dimensions

 

  1. Description of your original work

In the patriarchal society of South Korea following the 1940s and 1950s, gender roles were strictly defined. Women,now grandmothers, have been reduced to various labels that obscure their individuality. They are called daughters,daughters-in-law, family members, mothers, and so on.

These labels dictated their roles, making sacrifices for their families seem like a given. As a result, they have lived as strangers. Especially in the case of marriage, while men could continue living in their own villages and homes, women were often married off through arranged marriages (sometimes without even seeing their future husbands) and forced to move to their husbands' homes. This meant abruptly starting a life as a stranger, far from their own roots. This structure was even more pronounced in rural areas. Grandmothers who have lived as strangers still remain strangers in their own villages.

The village where Park Joohee grew up still maintains this structure. The grandmothers there continue to remain in the position of strangers and are hesitant to reveal their true selves. Society has imposed a passive and self-sacrificing role upon them, silencing their voices.

The cement containers reveal the hidden labor of these grandmothers. Behind the served food on the dining table lies their labor. The tasks of fetching water, cooking, cleaning up after meals, and washing dishes are all concealed by the served food. The steel frame and cement symbolize the social structure that hides this labor. These two materials, which are strong and cold and represent progress, reveal and melt away when they encounter the labor of the grandmothers. The cement containers, with their holes and cracks, can no longer fulfill their function.

So, what creates these cracks in the structure? It is the relentless struggle of the grandmothers to transform their passive labor into active labor. When we look closely at the roles that were once deemed sacrifices, we find a great deal of agency and creativity in their labor. And what sustained their labor was their songs. For the grandmothers, songs were more than just music. They served as a substitute for their freedom and provided them with a breath of fresh air.

 

  1. Elements from the referenced work you incorporated

Park Joohee's work, Labor Container, intersects with Moon Seongjoo's work, How to Cross The River. Park Joohee focuses on the element of 'river' in Moon Moon Seongjoo's work. Moon Moon Seongjoo imagines the river as an unknown obstacle that must be overcome. He suggests various ways to cross the river, from simply crossing it to growing a tree and felling it to cross.Along with these methods, Moon Sung-ju mentions in his writing that the river might actually be nothing at all.

 

  1. Description of your final work

For the grandmothers, the river was also an important place. It was an essential living space and a place of labor. It was where they performed the roles and labor assigned to them by society. They washed clothes in the river rather than receiving an education in school, and they fetched water and washed dishes. Here, they formed a sense of solidarity.Their songs, interwoven between their labor, transformed their assigned tasks into their own.

Thus, Park Joohee's work, installed in the exhibition space, is no longer just a single piece of art. Just as the grandmothers formed a bond as strangers in the river, it connects the artworks in the exhibition space. The lyrics of the grandmothers' songs, encompassing the transparent image of the river and surrounding the walls, reveal a subtle yet enduring sense of solidarity.

 

bottom of page